목록전체 글 (9)
Pioneer

이번에는 scale_config.py에 대해 분석할 것이다. 이 역시 scale_sim.py의 set_params(..)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호출된다. 코드의 목적 자체는 시뮬레이터의 셋업 과정 중 설정 파일에 있는 요소들을 읽어 이후 시뮬레이션 수행에 사용하기 위함이다. 지난 코드 분석과 마찬가지로 읽고 저장하는 과정이 주를 이룬다. 특별히 구현된 로직이 없어서 각 메서드의 목적 정도만 서술함.read_conf_file(..)설정 파일을 읽어 각 파라미터를 클래스의 속성에 저장한다. get_toplogy_path(..)scale_config 인스턴스에 저장된 토폴로지 파일 경로를 반환 set_topology_file(..)scale_config 인스턴스의 속성값에 토폴로지 파일 경로 저장scale_si..

이번에는 topology_utils.py를 분석할 것이다. 이를 분석하는 이유는 메서드 호출 시퀀스가 아래와 같기 때문이다: scale.py: scalesim(-)↓scale_sim.py: __init__(..) → topologies(-) → set_params(..) → load_arrays(..)↓topology_utils.py: __init__(..) load_arrays(..) → load_arrays_conv(..) 그리고 웬만큼 중요한 코드 스니펫이 아니면 내용으로 넣지 않을 예정. 글이 너무 길어지고 가독성이 떨어진다는 게 내 생각이다.__init__(..) ac..

실행 진입점? 그냥 main(..) 함수라는 의미다. 이 역시 알만한 사람들일테니 명령행 인자가 어떻고, 파이썬은 조건문을 사용해서 어떻게 정의하고 이런 것은 생략한다. 코드 분석은 웬만하면 블록 단위(함수, 클래스, 반복문 등)으로 하되, 짧을 경우는 예외.1. 실행 진입점import argparsefrom scalesim.scale_sim import scalesimif __name__ == '__main__': parser = argparse.ArgumentParser() parser.add_argument('-t', metavar='Topology file', type=str, default="../topologies/conv_nets/test..